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수준 판단 방법

안녕하세요! 환경, 안전, 소방, 위험물 종합 컨설팅 기관 (주)한국공정안전환경센터입니다.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 전, 작성수준을 판단해야 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수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제출 대상 및 작성 수준 판단 FLOW

- 최대 보유량산정 방법
: 사업장 내에서 유해화학물질의 취급하는 모든 제조사용시설 및 보관저장시설에서 해당 물질이 어느순간 최대로 체류할 수 있는 양의 합으로 산정한다. (물질의 비중 값 고려)

- 하위/ 상위규정수량(UT,LT)
: 하위/ 상위규정수량이란 유해화학물질 제출 수준을 위한 규정으로, 사업장의 모든 유해화학물질 제조사용시설과 보관저장시설에서 어느순간이라도 최대로 체류할 수 있는 양을 말한다.
사업장에서 유해화학물질을 규정수량 이상 취급 시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대상이다.
이때, 하위규정수량 이상 상위규정수량 미만은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2군, 상위규정수량 이상은 1군으로 구분하여 제출한다.
※ 참고자료
-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 예시집
- 화학물질안전원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제출 대상 및 작성 수준 판단
소방 외에 위험물, 환경, 안전 등 아래의 배너를 통해 문의주시면 친절하게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오늘도 안전하고 행복한 하루를 위해 노력하는
㈜한국공정안전환경센터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 인허가 관련 문의 *
(주)한국공정안전환경센터(k-psm)
PSM, 장외영향평가서, 위해관리계획서, 통합환경관리, 공정안전보고서 등 대한민국 안전분야를 함께하는 (주)k-psm 한국공정안전환경센터 입니다.
k-psm.co.kr
* k-psm 카카오톡 오픈채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