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Chemical/화학물질관리법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위험도 분석

k-psm 2024. 5. 28. 09:38

 

안녕하세요! 환경, 안전, 소방, 위험물 종합 컨설팅 기관 (주)한국공정안전환경센터입니다.

오늘은 이전 포스팅에서 선정한 사고시나리오를 토대로 사업장 전체 위험도를 판정하는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위험도 분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위험도 분석이란?

각 시나리오별로 위험도 분석을 위한 위험도 판단요소 4가지(① 사고 시나리오 개수, ② 사고시나리오 시설빈도, ③ 사고시나리오 거리, ④ 영향범위 내 주민 수)를 확인하여 각 요소들의 합으로 구간 점수 도출 및 위험도 판정 내용을 작성합니다.

※ 화학사고 예방·대비·대응·복구 운영단위로 두개 이상으로 구분하여 예방계획서를 작성한 경우에도 위험도는 전체 사업장 단위로 산정합니다.

 

 

위험도 분석의 진행순서

 

1) 사고시나리오명 : 장외로 나가는 모든 사고시나리오를 작성합니다.

2) 사고시나리오별 시설빈도 : 사고 시나리오의 누출유형별 사고발생 가능성을 모두 고려해서 사고시나리오별 시설빈도 서식[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등에 관한 규정 별지13]에 따라 산정한 시설빈도를 기입합니다.

3) 사고시나리오 거리 : KORA 프로그램에서 구동하여 나온 영향범위의 장외 거리를 입력합니다.

4) 주민수 : 각 사고시나리오에서 포함되는 거주민과 근로자수의 합으로, 사고시나리오에서 중복되는 주민수도 포함해서 작성합니다. 단, 산업단지에 입주한 사업장의 경우에는 근로자 수는 제외하셔도 됩니다.

 
 

위에서 작성한 판단요소들의 총합을 작성하고, 구간점수표에서 적절한 항목을 찾아서 환산된 점수를 입력합니다.

 

 

판단요소 구간점수의 값을 더해서 위험도 판정표에 대입하면 사업장에서의 위험도 분석은 완료됩니다.

 

 

4,5번은 증감요인 점수 판정에 영향을 주는 항목으로 , 각각의 사고시나리오별로 작성합니다!

 

화학물질안전원에서는 작성한 내용에 대해 추가검토 및 안전관리 방안의 타당성을 판단하고 “증감요인 점수”를 합산하여 최종적으로 위험도가 결정됩니다!

 

- “가” 위험도 : 위험도 판정표 점수와 위험도 증감요인 점수 합이 10점 이상인 경우(10, 11, 12점인 경우)로

화학사고로 인한 사고빈도와 사고영향을 고려하여 안전진단 주기를 4년마다 하는 취급시설

- “나” 위험도 : 위험도 판정표 점수와 위험도 증감요인 점수 합이 6점 이상 10점 미만인 경우(6, 7, 8, 9점인 경우)로

안전진단 주기를 8년으로 하는 취급시설

- “다” 위험도 : 위험도 판정표 점수와 위험도 증감요인 점수합이 5점 이하인 경우로 안전진단 주기를 12년으로 하는 취급시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