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화관서
- 울산안전컨설팅
- 울산환경인허가
- 공정안전보고서
- 위험성평가
- 위험물
- 안전지원단
- 산업안전보건법
- 화관법
- 울산환경컨설팅
- 울산컨설팅
- 울산안전인허가
- 도급승인
- 환경인허가
- 안전컨설팅
- 환경컨설팅
- PSM자체감사
- 산안법
- PSM
- 통합환경
- 한국공정안전환경센터
- 중대재해처벌법
- 화학물질관리법
-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 LDAR
- 대기환경보전법
- 매체별환경인허가
- kpsm
- 안전진단
- 가스기술사
- Today
- Total
k-psm
위험물제조소등의 구분 및 분류체계 본문
안녕하세요! 환경, 안전, 소방, 위험물 종합컨설팅기관 ㈜한국공정안전환경센터입니다 :)
위험물제조소등은 위험물 이용 목적에 따라 구분되는데요,
㈜한국공정안전환경센터에서 위험물제조소등에 대해 쉽고 간단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ㅇ 위험물이란?
인화성, 발화성 등의 물품을 말한다.
위험물을 지정수량 이상 저장·취급하려면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에 적합하게 시설울 갖추고 소방서 허가 및
완공검사를 받아야 한다. 이러한 장소를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 "위험물제조소등"이라 한다.
ㅇ 제조소등이란?
제조소, 저장소, 취급소를 모두 함께 부를 때 제조소등이라 한다.
ㅇ 위험물제조소등의 분류체계
① 제조소
▶ 위험물을 제조(생산)할 목적으로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취급하기 위하여 허가를 받은 장소를 말한다.
② 저장소
▶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할 목적으로 허가 받은 장소를 말한다.
③ 취급소
▶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취급(사용)할 목적으로 허가 받은 장소를 말한다.
★ 제조소와 취급소의 구분 ★
- 제조소 : 위험물 + 위험물 = 위험물(제조물이 위험물)
- 취급소 : 위험물 + 위험물 = 비위험물(제조물이 위험물이 아님)
ㅇ 저장소 구분
위험물을 지정수량 이상 저장하기 위해 시·도지사에게 허가받은 장소이며, 그 형태에 따라 8가지 저장소로 나눈다.
① 옥내저장소
▶ 옥내에서 위험물을 용기에 담아 저장하는 장소를 말한다.
* 옥내 : 지붕과 기둥 또는 벽 등에 의해 둘러싸인 곳
② 옥외저장소
▶ 옥외에서 용기나 드럼 등에 위험물을 넣어 저장하는 장소를 말한다.(옥외탱크저장소 제외)
◎ 옥외저장소에 저장 가능한 위험물 종류
- 제2류 위험물 중 유황 또는 인화성고체(인화점이 섭씨 0℃ 이상인 것에 한함)
- 제4류 위험물 중 제1석유류(인화점이 섭씨 0℃이상인 것에 한함) 또는 알코올류·제2석유류·제3석유류·제4석유류·
동식물유류
- 제6류 위험물
- 제2류 위험물 및 제4류 위험물 중 특별시·광역시 또는 도의 조례에서 정하는 위험물
③ 옥내탱크저장소
▶ 전용 건축물 내 또는 건축물의 전용실 내에 설치된 탱크에 위험물을 저장하는 장소를 말한다.
* 탱크 용량 제한 외 옥내탱크저장소를 설치할 수 있는 건축물 층수 등 제한 있음
④ 옥외탱크저장소
▶ 옥외에 있는 탱크에 위험물을 저장하는 장소를 말한다.
⑤ 지하탱크저장소
▶ 지하에 매설된 탱크에 위험물을 저장하는 장소를 말한다.
* 저장시설 본체가 지하에 매설되므로 지상에는 탱크에 부속하는 설비만이 설치되는 특수한 시설
⑥ 간이탱크저장소
▶ 간이탱크에 위험물을 저장하는 장소를 말한다.
* 탱크의 용량, 탱크의 기수, 설치 장소 등에 제한 있음
⑦ 이동탱크저장소
▶ 차량에 고정된 탱크에 위험물을 저장하는 장소를 말한다.
* 차량 : 피견인자동차에 있어서는 앞차축을 갖지 아니하는 것으로 당해 피견인자동차의 일부가 견인자동차에 적재되고 당해
피견인자동차와 그 적재물 중량의 상당 부분이 견인자동차에 의해 지탱되는 구조의 것에 한함
⑧ 암반탱크저장소
▶ 지하 암반 내의 공간을 이용한 탱크에 액체 위험물을 저장하는 장소를 말한다.
ㅇ 취급소 구분
지정수량 이상 위험물을 제조 외 목적의 취급 장소로 시·도지사에게 허가를 받는 장소를 말하며, 그 목적에 따라
주유취급소, 판매취급소, 이송취급소, 일반취급소로 구분된다.
① 주유취급소
▶ 고정된 주유 설비에 의해 자동차, 항공기 또는 선박 등의 연료탱크에 직접 주유하기 위하여 위험물을 취급하는 장소를 말한다.
② 판매취급소
▶ 점포에서 위험물을 용기에 담아 판매하기 위하여 지정수량의 40배 이하의 위험물을 취급하는 장소를 말한다.
- 제1종 취급소 : 지정수량 20배 이하
- 제2종 취급소 : 지정수량 40배 이하
③ 이송취급소
▶ 배관 및 이에 부속된 설비에 의하여 위험물을 이송하는 장소를 말한다.
◎ 이송취급소 설치제외 장소
- 철도 및 도로의 터널 안
- 호수, 저수지 등으로 수리의 수원이 되는 곳
- 급경사 지역으로 붕괴의 위험이 있는 지역
- 고속국도 및 자동차전용도로의 차도, 길어깨 및 중앙분리대
④ 일반취급소
▶ 주유취급소/판매취급소/이송취급소 외의 장소(유사석유제품 취급 제외)
- 제조소와 달리 위험물 이용 최종적으로 위험물이 아닌 제품을 제조(생산)하는 경우
- 위험물을 생산하지 않는 제반 취급소를 일반취급소라 할 수 있다
오늘은 위험물제조소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위 내용을 참고하시어 위험물제조소등을 구분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위험물 외에 환경, 안전, 소방 등 아래의 배너를 통해 문의주시면 친절하게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오늘도 안전하고 행복한 하루를 위해 노력하는
㈜한국공정안전환경센터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 인허가 관련 문의 *
(주)한국공정안전환경센터(k-psm)
PSM, 장외영향평가서, 위해관리계획서, 통합환경관리, 공정안전보고서 등 대한민국 안전분야를 함께하는 (주)k-psm 한국공정안전환경센터 입니다.
k-psm.co.kr
* k-psm 카카오톡 채널 *
https://pf.kakao.com/_xfxhxdEK
(주)한국공정안전환경센터(k-psm)
행복을 함께하는 안전, 보건, 환경_종합컨설팅기관 (주)한국공정안전센터(k-psm)입니다.
pf.kakao.com
* k-psm 안전지원단 *
kpsm 안전지원단
산업·폭발·재해·설계·가스 사고 등의 위험으로부터 대한민국의 안전을 책임지겠습니다.
kpsm-safety.co.kr
'★ F-Fire Hazard > 위험물제조소 검토·설치·변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험물안전관리법 규제의 개요 (0) | 2024.05.23 |
---|---|
위험물 예방규정 이행실태 평가제도에 대하여 (1) | 2024.05.08 |
위험물 예방규정이란? (0) | 2024.05.08 |